원래 공무원이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에 관하여 법령에 정한 방식에 따라 그 직무를 집행하는 경우에 있어서
가사 그 직무집행의 대상이 된 사실에 관하여 착오가 있었다 하더라도 일응 그 행위가 공무원의 적법한 행위라고 인정할 수 있는 시는 이는 형법 제136조의 소위 공무집행에 해당된다
공무집행방해등
【판시사항】
집달리가 그 직무를 집행함에 있어 집행대상이 된 사실에 인하여 착오가 있는 경우와
형법 제136조의 공무집행
【판결요지】
공무집행의 대상이 된 사실에 관하여 착오가 있었더라도 일응 그 행위가 공무원의 적법한 행위라고 인정할 수 있는 경우는 본조의 공무집행에 해당된다.
【참조조문】
【전문】
【상고인, 피고인】
【원심판결】
제1심 광주지방, 제2심 광주고등
【이 유】
일건 기록에 의하면 본건 가옥에 대하여 소론과 같은 입입금지 가처분 결정이 있었고 동 결정이 집행되었던 사실은 인정할 수 있으나
원심에서의 증인 공소외 1, 2(집달리)의 증언으로서 우 가처분에 대한 이의 신립에 의하여 광주지방법원에서 원결정을 취소하고 우 가처분을 해제하는 가집행을 할 수 있다는 판결이 있었던 사실과 본건 가옥명도를 집행할 당시 우 가처분에 의한 입입금지의 표시가 없었음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
입입금지 가처분의 집행상태가 존속중이었음을 전제로한 소론과 집달리가 집행력 있는 판결 정본에 의하여 정당한 직권행사로 서한 가옥명도 집행행위를 부당한 권리의 침해라고 처단하는 전제하에서의 정당행위 운운의 논지는 이유없다 할 것이며
원래 공무원이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에 관하여 법령에 정한 방식에 따라 그 직무를 집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사 그 직무집행의 대상이 된 사실에 관하여 착오가 있었다 하더라도 일응 그 행위가 공무원의 적법한 행위라고 인정할 수 있는 시는 이는 형법 제136조의 소위 공무집행에 해당된다고 해석하여야 할 것인바
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집달리는 집행력있는 판결 정본에 의하여 소정의 절차에 따라 본건 가옥명도의 집행을 하였다는 것이므로 가사 우 집달리가 본건 집행에 있어서 그 목적물에 대하여 입입금지 가처분 결정의 집행상태가 계속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착오로서 이를 모르고 본건 집행을 하였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를 방해한 피고인 등의 행위는 역시 공무집행을 방해한 것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.
'판례&사례&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법원ᅠ2013.9.26.ᅠ선고ᅠ2013도6862ᅠ판결ᅠ【무고】 (0) | 2017.12.01 |
---|---|
형법 §141 공용서류무효죄 관련 66도567 판결 (0) | 2017.11.26 |
[검사 성추행 사건] 서울중앙지방법원ᅠ2013.4.12.ᅠ선고ᅠ2012고합1753ᅠ판결ᅠ【뇌물수수·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】 (0) | 2017.11.18 |
대법원ᅠ2011.9.29.ᅠ선고ᅠ2011도4397ᅠ판결 (0) | 2017.11.13 |
대법원ᅠ1972.12.12.ᅠ선고ᅠ71도2353ᅠ판결ᅠ【업무상횡령등】 (0) | 2017.11.11 |